제목을 입력하세요.jpg

챗 GPT와 AI 이미지 생성기의 등장으로 글과 이미지, 영상을 창작하는 방식에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습니다. 특히 코로나 시기와 맞물려서 메타버스가 확산되면서 사람들은 아바타를 만들고 가상 공간을 활보하며 타인과 소통하게 되었습니다. 인공지능과 VR 기술의 발달로 현실 세계는 가상 공간으로까지 확장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인공지능과 VR 기술이 우리가 음악을 경험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이에 대한 답으로 버시스는 ‘인터랙티브 뮤직’이라는 새로운 음악 경험을 제안합니다.

‘인터랙티브 뮤직’은 버시스가 제안하는 새로운 형태의 음악 소비 개념으로, 단순히 소리로만 이루어진 기존 음악에 비주얼, 인터랙티브 모션, 스토리, 세계관 등의 요소를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로 결합한 공감각적인 음악 경험을 의미합니다.

버시스_1st.jpg

“사운드와 다른 요소를 연결한다”는 것은 단순히 음악을 듣는 것을 넘어, 여러 감각적인 요소와 상호작용하여 음악을 더 풍부하고 몰입감 있게 경험한다는 의미입니다. 버시스의 인터랙티브 뮤직은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비주얼, 인터랙티브 모션, 스토리, 사용자 경험을 하나로 결합했습니다. 이 네 가지 요소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음악과 연결되며,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실시간으로 서로 상호작용하고 변화합니다.

1. 비주얼

인터랙티브 뮤직은 음악을 단순히 '듣는 것'에서 ‘보는 것'으로 확장해, 사용자에게 더욱 몰입감 있는 음악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 과정에서 음악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각적 피드백이 적용되는데, 그 예로 음악의 리듬에 따라 변화하는 3D 물체, 음악의 흐름에 맞춰 변화하는 메타버스 환경, 그리고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연주 가능한 3D 가상 악기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시각적 요소는 단순히 감상을 넘어서, 음악과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더 직관적인 방식으로 음악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특히, 리듬과 함께 변화하는 시각적 이미지나 메타버스 환경의 변주는 음악에 생동감을 더해, 음악이 실시간으로 눈앞에서 펼쳐지는 것 같은 새로운 차원의 경험을 선사합니다.

2. 인터랙티브 모션

인터랙티브 뮤직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사용자의 인터랙티브 모션에 따라 음악이 변화하는 점입니다. 사용자가 핸드폰을 흔들거나 화면을 터치하면, 그 동작에 맞춰 음악의 흐름이 변형되고 새로운 비트가 생성됩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개성을 담아 음악을 재창작하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버시스가 선보인 아티스트 SUMIN의 인터랙티브 싱글 ‘FIGHTMAN’에서는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거나 스마트 기기를 흔들 때마다 음악이 리듬과 비트를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변형됩니다. 이는 사용자가 음악의 흐름에 직접 개입하고 변화를 만들어내는 크리에이티브한 경험을 제공하죠.

작은 움직임이나 터치에도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음악은 사용자가 음악과 긴밀히 상호작용하며, 음악이 선사하는 즐거움을 최대한으로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처럼 사용자의 모션과 음악이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며 만들어지는 음악 경험은, 몰입감과 참여감을 극대화해 새로운 차원의 음악 감상을 가능하게 합니다.

3. 스토리

메타버스 내의 세계관과 음악이 결합된 방식도 주목할 만한 점입니다. 사용자가 메타버스에서 자신의 아바타로 특정 행동을 취하면, 그 행동에 맞춰 음악이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아바타가 메타버스 내의 오브젝트를 상호작용하거나 특정 경로를 걸으면, 그에 따라 새로운 음악적 요소가 추가되거나 변형됩니다.

이러한 방식은 단순히 음악을 수동적으로 감상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가 스토리와 음악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 과정은 마치 비디오 게임과 같아서, 사용자는 메타버스의 가상 세계에서 ‘음악적 사건’을 만들어내는 주체가 됩니다. 이는 사용자에게 더욱 역동적이고 개인화된 음악 체험을 선사합니다.

4. 사용자 경험